브랜드 자산 1. 브랜드 자산의 의미 • 브랜드 자산 - 브랜드의 이름 및 상징과 관련하여 형성된 자산과 부채 - 해당 기업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 브랜드 자산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유 - 경제불황기의 경우 소비자들이 대체로 신중한 구매형태를 따름 : 신뢰성이 낮은 브랜드의 구매를 주저하게 됨 - 경제불황기의 경우 기업들이 신규고객을 확보하기보다는 기존고객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마케팅 활동이 이루어지게 됨 : 브랜드 자산이 특히 높은 기업의 경우에는 이를 위한 마케팅 비용이 절감됨 2.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 • 브랜드 자산 -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 지각된 품질, 브랜드 연상 그리고 경쟁적 이점 등 다섯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

기업의 유형 개인기업 vs 법인기업 (주식회사: 대표적 법인기업) 영리 기업 vs 비영리기업 제조기업 vs 상품매매기업 vs 서비스기업 1. 주식회사의 특징 유한책임: 주주는 투자한 금액의 범위 내에서 책임 주권발행: 1주의 액면금액 100원 이상, 소액자본 참여, 거대 자본 축적 가능 의결권 행사: 보통주 주식수에 비례하여 행사 주권 양도 가능: 개인 간(비상장) 또는 주식시장(상장 및 등록)을 통해 주주의 권리 양도 전문경영인 활용: 소유와 경영의 분리 가능 기업 활동 재무 활동 (financing) : 자금의 조달(주식발행, 차입)과 상환(배당 지급, 원리금 상환) 투자 활동 (investing) : 영업에 필요한 설비자산 등의 취득과 처분(노후자산의 매각) 영업 활동 (operating) : 제품..
브랜드에 대한 이해 1. 브랜드의 개념 • 브랜드의 유래 - 앵글로 색슨족이 불에 달군 인두로 자기 소유의 가축에 낙인을 찍어 소유물을 확인하는 데서 유래함 • 브랜드 - 판매업자의 상품 및 서비스를 경쟁업자의 상품이나 서비스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만든 이름, 용어, 기호, 상징, 또는 디자인이나 이 같은 요소들의 결합체 • 브랜드는 구체적으로 브랜드 네임과 브랜드 마크 그리고 트레이드 마크를 포괄하는 개념임 - 브랜드 네임 : 말로 소리 내어 부를 수 있는 낱말, 문자, 숫자 등으로 된 상표의 표현 - 브랜드 마크 :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기호, 도형, 색채, 디자인 또는 이들의 결합체 - 트레이드 마크 : 브랜드를 특허청에 등록함으로써 발생되는 것으로서 법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독점권이 부여..
1. 회계란 무엇인가? 회계란, 기업의 재무 언어로서, 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기업의 재무정보를 생산∙제공하는 정보시스템 정보이용자: 외부 이해관계자(투자자, 대여자, 기타 채권 자 등)와 내부 이해관계자(경영자) 재무정보: 기업의 경제활동(“거래”)을 식별, 측정, 기록, 분류, 요약: ⇒ 주요 장부와 재무제표 회계정보시스템: 기업의 경제활동과 정보이용자를 연결시키는 기업의 재무 언어로서의 의사소통시스템 2. 회계거래 기록의 역사 단식부기와 복식부기 복식부기에 관한 최초의 공인 문헌: 1494년 출간된 루까 빠치올리(Luca Pacioli)의 『산술, 기하, 비례 및 비율 총 람』 중에 복식부기 체계적 정리 사개송도치부법(四介松都治簿法, 개성 부기): 서양 복식부기보다 200년경(?)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