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study-mate-jennie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study-mate-jennie

검색하기 폼
  • Category (138)
    • 경영학 (136)
      • 경영정보시스템 (27)
      • 경영학개론 (27)
      • 경제학개론 (4)
      • 국제경영 (17)
      • 마케팅원론 (11)
      • 생산관리 (13)
      • 인간관계론 (12)
      • 인적자원관리 (25)
    • 경찰학과 (2)
      • 사회학개론 (2)
  • 방명록

경영학/경영학개론 (27)
[경영학개론] 18. 마케팅 관리

1. 마케팅 컨셉 1)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1) 교환행동 :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주고 고객은 그 대가를 기업에 지불 (2) 고객이 원하는 것을 생산하여 교환 - 시장 선택 : 어떤 사람? - 4P 선택 제품(Product) 결정 : 어떤 노트북을? 가격(Price) 결정 : 값을 얼마로? 유통경로(Place) 결정 : 어떤 종류의 점포를 통해서? 촉진방법(Promotion) 결정 : 어떤 방법으로 알려야 하나? 2) 마케팅관리란 무엇인가? (1) 마케팅 활동을 계획, 조직, 지휘, 조정, 통제해 나가는 일련의 활동 (2) 마케팅 관리자의 역할 : 시장과 4P에 관한 정보 수집, 전략 수립, 실천하는 역할 3) 마케팅관리 기능(Marketing management function) (1..

경영학/경영학개론 2021. 12. 7. 04:07
[경영학개론] 17. 제품 생산의 관리

1. 생산관리의 실제 1) 생산이란 무엇인가? (1) 생산관리 : 양질 제품 및 서비스를 적기, 적량, 적정가에 생산할 수 있도록 생산시스템을 설 계하고 관리하는 기업 활동 - 생산 및 운영관리(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 제품 생산 및 서비스 활동 (2) 가치창출 활동 - 생산 활동의 예 생산 활동의 예 전환의 형태 제품의 생산(제조) 물리적인 전환 제품의 이동(배달) 지리적인 전환 제품의 보관(창고) 시간적인 전환 (3) 생산관리의 특징 - 제품부문 및 서비스 부문 포함 개념 - 세계화 추세 → 세계적 경쟁력 유지 - 생산 활동 : 기계화, 전문화, 분업화, 자동화, 표준화 - 연구개발 중시 (4) 생산관리 체계 : 품질/생산성 향상 목표를 갖고 생산시스템과..

경영학/경영학개론 2021. 12. 7. 03:05
[경영학개론] 16.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경영활동

1.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역할 1) 분업 : 효율적 생산 (1) 중요성 (2)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 통제기능(control) - 동기유발기능(motivation) - 의사표출기능(expression) - 정보소통기능(information) 2)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란 무엇인가? - 의사(opinion) - 감정(sentiment) - 정보(information)를 주고받음. 3) 커뮤니케이션 과정 -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 누가 보내는가?(송신자) 무엇을 보내는가?(메시지)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가?(매체) 누구에게 보내는가?(수신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수신자 반응) - 현대적 커뮤니케이션 과정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까지 포함 인간의 모든 행동 자체가 상대방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

경영학/경영학개론 2021. 12. 7. 02:02
[경영학개론] 15. 리더십을 통한 경영활동

1.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1) 리더와 기업 - 리더는 회사의 분위기를 주도 - 기업의 성격 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 - 회사 전략의 주도자 - 타인의 모델 역할 2) 리더십이란? - 구성원들로 하여금 성과 창출 노력에 자발적으로 몰입하도록 이끌어가는 과정 3) 리더, 관리자, 경영자 - 관리자 : 감독자, 주어진 일이 완성되도록 부하에게 지시하여 목표 달성 - 경영자 : 계획, 조직, 지휘, 조정, 통제하는 자 - 리더 : 부하가 하도록 방향 제시, 인도, 비전 제시, 동기 유발자 ` 4) 리더의 권력은 어디서 오는가? (1) 권력의 기반 - 강제적 권력 : 부하를 처벌할 수 있음 - 보상적 권력 : 부하에게 유리한 보상을 해줄 수 있음. - 합법적 권력 : 약속이나 계약 또는 법으로 따르도록 정해 놓았..

경영학/경영학개론 2021. 12. 7. 01:01
이전 1 2 3 4 5 6 7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 [마케팅원론] 10. 표적시장의 선정 및 포지셔닝
  • [마케팅원론] 9. STP 전략에 대한 이해 및 ⋯
  • [마케팅원론] 8. 소비자행동의 영향요인
  • [사회학개론] 2. 문화와 문화변동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