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라이센싱 1) 라이센싱의 개념과 의의 (1) 기술 등의 지적재산권을 다른 기업에게 사용하도록 허락하고 그 댓가로 로열티를 받는 계약 방식 (2) 기술이전을 통한 시장진입 방식 (3) 수입장벽이나 FDI 규제의 우회 수단 (4) 정치적 위험에 대한 노출이 적음 (5) 자본, 경영자원, 해외시장 경험이 부족하거나 적극적 시장개입 의사가 없을 때 (6) Technology feedback, cross-licensing 가능 2) 라이센싱 한계 및 위험 (1) 라이센싱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기술보유 전제 (2) 기술유출 위험 -commercial risk 높음 (3) 미래의 경쟁자를 키워줄 가능성 (4) 생산 및 마케팅 활동에 대한 통제권 부족 (5) 계약 기간 내 라이센싱 이외의 다른 진입방법 사용 곤란..

1. 수출의 개념 및 동기 1) 수출의 개념과 의의 (1) 원자재, 부품, 완제품의 해외 판매 : 타기업, 수입상 등에 대한 판매 자체가 목적 (2) 최근 기업 내 무역(intra-firm trade) 증가 : 가공/조립 목적의 본사-자회사, 자회사 간 거래 (3) 가장 기본적인 해외시장 진입방법 : 수출에 있어서 통제(control)와 위험(risk) 정도는 어떠한가? 2) 수출의 전략적 동기 - 기본적으로 기업 성장전략의 일환 - 과잉생산품의 처분, 유휴생산시설 활용 - 규모의 경제 추구(국내시장 협조) - 고수익 추구(ex: 국내시장 성숙기, 위험 분산) - 시장잠재력의 test - Intra-firm trade cf) 다른 진입방법과의 비교? 3) 수출에 의한 해외진출 (1) 수출 - 해외진출방법..

1) 해외시장 진입방법의 결정 영향 요인 (1) 기업 내부요인(inter factors) (a) 기업요인(firm-specific factors) - 인적/물적자원 - 국제경영활동의 경험 - 최고경영자의 의지, 경영방침 등 (b) 제품요인(product-specific factors) - 서비스 요구 수준 - 제품의 차별화 정도(product differentiation) - 가격 대비 부피나 중량 - 기술의 특성이나 생산공정 상의 규모의 경제 (2) 기업 외부요인(external factors) (a) 현지국의 시장요인 - 시장규모(현재 및 성장가능성) - 경쟁구조(경쟁자 수 및 상대적 경쟁력) - 유통구조 및 관습 (b) 현지국의 거시환경요인 - 정치적 위험/안정성 - 정부정책 및 규제 무역(수입) ..
1. 시장진입전략의 의의 1) 시장진입전략의 일반적 절차 (1) 해외시장 진출 여부의 결정 - 국내 시장의 규모와 성장성, 경쟁, 규제, 해외시장에서의 가능성 등을 고려 (2) 진출시장의 선택(Country Selection) - 기회 : Market Potential - 위험 : 환경의 이질성 및 불안정성 → 시장의 매력도 평가 (3) 진입방법의 결정(Entry Mode Decision) - 수출 - 계약 : 라이슨싱, 프랜차이징 등 - 해외직접투자(FDI) 2) 시장진입방법 결정의 의의 (1) 한번 결정된 진입방법의 단기적 변경 어려움 (2) 대규모 경영자원 투입 수반 가능 (3) 잘못된 진입방법 선택은 시장진입 실패 또는 보다 큰 이익을 취할 수 있는 기회의 상실로 이어질 수 있음. 2. 진입방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