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율변동과 결정 요인 1) 구매력평가설(PPP: Purchasing Power Parity, 절대 or 상대) 변동환율제도하의 환율은 그날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나, 장기적인 환율 수준의 결정은 구매력평가에 의해 결정된다. (1) 물가상승률의 차이가 마래 현물환율 결정 - 환율변동폭=국내물가상승률-외국물가상승률 (2) 빅맥 환율 - Big Mac 지수는 햄버거를 대상으로 한 것이나 보통 여러 재화를 대상으로 물가상승을 고려하여 계산함. 2) 국제피셔효과(IFE: International Fisher Effect) - 명목이자율은 실질이자율과 기대인플레이션의 합이다(Fisher 효과) - 만일, 양국 간에 이자율의 차이가 존재하면, 이자율이 높은 곳으로 자금이 이동하여 환율을 변동시킴. - 따라..
1. 국제통화제도의 변천 1) 브래튼우즈 체제 (1) 1944년 7월 출범한 국제통화제도 (2) 금환본위제 - 금 1온스 = 미화 35달러 (3) 고정환율제 - 달러에 환율 고정 - 상하 1% 내외에서 조정 가능 (4) IMF 창설 - 회원국들에게 외환 대여 - 한국은 1955년 8월 가입 (5) 유동성 딜레마 - 달러의 국제신인도와 국제 유동성 간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 2) 환율변동제도의 도입 (1) 스미소니언 체제 - 1972년 12월 스미소니언 박물관에서 환율변동폭 상하 2.25%로 확대 합의 (2) 킹스턴 체제 - 1976년 1월 각국은 자국 경제사정에 적합한 환율제도 채택 합의 (3) 플라자 합의 - 1985년 9월 선진 5개국 달러화 평가절하 합의 (4) 아시아 외환 위기 ..
1. 통상 마찰의 배경과 요인 * 통상마찰 : 경제적 교역활동으로 인하여 두 나라 간에 상황적·행위적·감정적 그리고 인지적 차원에서 충돌 및 대립관계가 있는 경우를 의미 1) 산업구조조정의 부진과 실업률 증가 시장 개방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산업구조조정의 부진 신보호부역주의 만연 - 선진국이 고용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비관세 장벽을 통해 자국의 비교열위산업을 보호함. 2) 세계적인 공급과잉과 경기 침체 1970년대 오일쇼크와 세계적인 경기 침체 - 유류 파동, 석유 파동, 오일 크라이시스(영어: oil crisis)는 원유 값이 급등하여 전 세계 각국에 경제적 타격을 준 경제 위기를 말하며, 지금까지 대한민국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2차례의 유류 파동은 각각 1973년과 1978년에 일어났다. 1980년대..
1.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 국제통상환경은 세계화, 세계 경제의 다극화, 지역주의, 다자간/쌍무간 국제협력주의, 기술 및 지식의 중요성 증가 등의 특성을 가지고 진행되어 왔음. 1) GATT와 기본 원칙 - 1947년 출범한 GATT는 보호무역장벽을 철폐하는 다자간 협상임. - GATT는 수차례 라운드를 통해 관세와 비관세장벽을 줄여 왔음. - 그러나, 각국의 반덤핑규제의 남용과 GATT의 결정의 구속력 부재는 GATT의 큰 약점이 되었음. 자유무역주의 - 비교우위에 따른 국제무역 - 선진국들 공정 무역 주장 : 동일한 노동 및 환경기준을 준수하는 자유무역 무차별 주의 - 모든 국가에 동일하게 관세 부과 - 최혜국대우와 내국민대우 원칙 다자주의 - 이해관계자 모두가 무역협상 및 분쟁 해결 - 다자간 무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