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봉제의 개요와 도입과정과 절차 1) 연봉제의 개요 (a) 연봉제의 의의와 도입배경 - 1990년대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기본급의 형태로서 연공제를 대신할 수 있는 연봉제가 도입, 확산되고 있음 - 연봉제는 개별 종업원의 능력, 실력 및 공헌도를 평가하고 계약에 의해 연간 임금액을 결정하는 능력중시형 임금지급체계 - 우리나라에서 연봉제가 급속하게 도입된 배경 (1) 개인의 공헌, 실적과 보상이 연계될 수 있는 기본급체계의 필요성 때문임 (2) 급여 관리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서도 연봉제의 필요성이 있었음: 기본급 체계가 매우 복잡하여 임금의 투명성 보장이 되지 않고 관리에도 많은 문제점 (b) 연봉제 도입의 의미: 공평성으로부터 공정성으로 - 우리 사회에서 연봉제의 도입과 확산은 보상원리에서의 근본적인..

1. 임금관리의 의의와 내용 - 조직구성원이 조직을 위해 기여했으면 그에 대한 보상이 필요: 구성원의 입장에서는 보상 때문에 조직을 위해 일할 수 있기 때문임 - 유형적 보상에는 직접 화폐로 주는 기본급, 상여, 성과급과 비화폐적 보상인 복리후생이 있음 1) 임금관리의 의의 - 임금 또는 급여: 노동력에 대한 대가로 지급되는 급부로 육체적 노동자들에게 지급되는 좁은 의미의 임금(wage)과 사무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지불되는 월급 형태의 급료(salary)를 포괄하는 개념 - 임금의 성격 (a) 노동력의 재생산 비용, 즉 생계비로서의 성격 (b) 노동력의 수요가치, 즉 상품가격으로서의 성격 (c) 사용자의 관점에서 생산비(cost)라는 성격 - 임금에 대한 기업과 종업원의 입장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
1. 인사고과 실시상 중요 이슈 1) 인사고과 실시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인사고과는 인적자원관리의 제도 중 끊임없이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는 제도임 - 기본적으로 사람이 사람을 평가하는 제도인데다 평가자와 피 평가자의 시각차가 너무 클 수 있고, 결과가 승진과 급여라는 처우와 연결되기 때문임: 종업원 입장에서는 매우 민감하게 반응 할 수 있는 제도이며, 많은 불만과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함 (a) 실시상 문제점 (1) 애매한 평가기준: 많은 전통적인 인사고과 특히 평가척도법 등에서는 평가기준이 애매할 때가 많음. 평가척도에 대해 평가자마다 생각하는 기준이 제각각 일 수 있고, 평가요소인 업무의 양, 업무의 질, 성실성 등의 개념이 구체적이지 않고 모든 평가자에게 동일한 개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 ..

1. 업적평가 1) 업적평가와 피드백제공의 필요성 • 효과적인 측정과 피드백의 공통 목적은 사원에게 동기부여하고 생산성 향상 (1) 동기부여와 생산성 향상 기대이론에서 동기에는 두 요소: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결정과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결정 (2) 전략적 계획과 변화 • 업적관리 시 또 하나 중요한 쓰임새는 조직의 전략수립과 의사결정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임 ① 문제파악 ② 변화의 평가 (3) 합법성 확보 • 사회는 조직이 중요한 의사결정에 양질의 정보를 잘 사용하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법과 규제에 나타남 업적관리시스템 합법성 확보 원칙 ① 비 차별적 ② 직무관련성 ③ 공정성 2) 평가항목의 결정 (1) 개인적 특성 • 충성심, 신뢰성, 의사소통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