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조직화란 무엇인가?
1) 조직의 구조와 설계
(1) 관련 용어
- 조직설계(organization design) : 위치와 층수, 창의 방향 등을 계획
- 조직구조(organization structure) : 설계대로 지은 집
- 조직유형(organization configuration) : 여러 가지 집 모양
- 조직화(organizing) : 설계하여 완성하기까지의 전 과정
(2) 조직구조의 모양을 결정하는 요소 3가지
- 일을 어떻게 나누는가? (분업화)
- 나누어진 일을 어떻게 통합하고 연결하는가? (통합화)
- 각 사람(또는 부서)에게 일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어떻게 배분하는가? (분권화)
(3) 조직설계의 3단계 :
과업의 나눔(분업화) – 과업의 연결(통합화) - 권한의 배분(분권화)
(4) 공직조직과 비공식조직
공식(인위적)조직 | 비공식(자연적)조직 | |
가입동기 조직구조 지도자 과업 존속기간 행동기준 |
지명, 선발 안정적, 불변 투표, 공식 지명 미리 정해져 있음 미리 정해짐 능률, 효율 |
자연발생적, 자의적 가변 자연적 지도자 탄생 다양함, 변함 구성원들의 의도대로 감정, 인간 |
2. 분업화 : 과업 나누기
1) 수평적 분업과 수직적 분업
- 과업을 어느 정도까지 세분화하느냐의 문제가 조직설계의 주요 변수가 된다.
2) 분업화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 분업화가 많아질수록 한 사람에게 부여되는 작업의 수는 적어지기 때문에 작업방법을 전문화, 고정화(표준화)해 놓기 쉽고 같은 일을 계속 반복함으로써 숙련도가 높아지는 효율성 증대됨.
- 하지만, 각 사람이 자기가 담당하는 한 가지 일만 수행하기 때문에 모두를 조화롭게 연결시키는 비용이 큼.
- 과업 수행에 사용할 기술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함.
예) 전문화된 기술
- 분업화하면서 발생하는 이점(이익 증대)과 단점(비용 증대)을 함께 감안하여 적정 수준으로 나눈 것이 좋은 설계 방법임.
3. 통합화 : 과업 연결하기
1) 공식화(formalization)의 문제
- 사전에 정해진 일의 분량, 수행일정, 수행방식, 만들어지는 부품의 모양 등에 관한 공동으로 지켜야 할 방침, 규정과 약속에 의해 조화롭게 연결되는 것.
- 방침, 규정, 약속 등을 문서화와 같은 방법을 통해 공식화 또는 통합화
- 공식화 : 각자가 맡은 과업의 수행절차, 수행방법 그리고 작업결과 등에 대해 사전에 기준을 정해 놓은 정도이다.
- 최고경영진은 통합에 필요한 공식화도 그 정도에 따라서 발생하는 장단점을 파악하여 적정한 수준의 의사결정이 필요함.
4. 분권화 : 권한 배분하기
1) 어느 정도 위임할 것인가?
(1) 분권화의 필요성
- 권한자의 한계, 관리 능력의 한계
- 조직 외부 상황에 변화에 대한 적절하고 신속 대처
- 집권화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실무자들의 책임회피, 사기저하와 창의성 및 아이디어의 발현 기회 제한 등을 해소
(2) 분권화 정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
- 최고책임자의 독재성
: 권력에 대한 최고책임자의 태도
- 사용기술의 복잡성
: 기술이 복잡할수록 실무 담당자에게 결정권이 위임
- 담당자의 능력
: 담당자의 능력이 클수록 결정권이 담당자에게 위임
- 환경의 가변성
: 환경이 가변적이고 급변할수록 관리의 한계 발생하기 때문에 위임 가능성
2) 책임 권한 배분 시 유의할 점
(1) 책임-권한 균형(responsibility-authority parity)의 원칙
: 책임을 주면 그에 걸맞은 권한도 주어야 한다는 원칙
(2) 명령 통일(unity of command)의 원칙
: 한 사람의 한 업무에 대한 지시는 한 사람의 상급자만을 통해서 전달되어야 한다는 원칙
(3) 명령 계층화(chain of command)의 원칙
: 조직의 최고책임자로부터 일선담당자에게 이르기까지 모든 지시와 보고의 채널이 수직계층화 되어야 한다는 원칙
(4) 통제범위(span of control)의 원칙
: 한 사람의 상급자에게는 그가 통솔할 수 있는 부하직원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는 원칙
'경영학 > 경영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개론] 15. 리더십을 통한 경영활동 (0) | 2021.12.07 |
---|---|
[경영학개론] 14. 조직의 설계 (0) | 2021.12.04 |
[경영학개론] 12. 경영통제 (0) | 2021.12.04 |
[경영학개론] 11. 순환적 경영활동과 계획수립 및 의사결정 (0) | 2021.12.04 |
[경영학개론] 10. 현대 경영의 태동과 발전 (0) | 2021.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