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생산관리의 실제
1) 생산이란 무엇인가?
(1) 생산관리 : 양질 제품 및 서비스를 적기, 적량, 적정가에 생산할 수 있도록 생산시스템을 설
계하고 관리하는 기업 활동
- 생산 및 운영관리(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 제품 생산 및 서비스 활동
(2) 가치창출 활동
- 생산 활동의 예
생산 활동의 예 | 전환의 형태 |
제품의 생산(제조) | 물리적인 전환 |
제품의 이동(배달) | 지리적인 전환 |
제품의 보관(창고) | 시간적인 전환 |
(3) 생산관리의 특징
- 제품부문 및 서비스 부문 포함 개념
- 세계화 추세 → 세계적 경쟁력 유지
- 생산 활동 : 기계화, 전문화, 분업화, 자동화, 표준화
- 연구개발 중시
(4) 생산관리 체계
: 품질/생산성 향상 목표를 갖고 생산시스템과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 활동하는 내용
- 생산시스템의 종류
- 판매시스템(distribution system for inventoriable products) : 재화생산부분이 포함 안 되고 다른 조직에서 만든 것을 판매하는 시스템
- 생산-판매 시스템(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for high volume standarized products) : 소품종 제품 대량생산 판매 조직
- 폐쇄적 주문 생산(closed job shops for inventoriable items) : 주문생산기업→제품가격 제시→주문→생산
- 개방적 주문 생산(open job shops for custom items) : 주문생산기업→수요처 요구명세 따라→생산하여 공급
- 대규모 1회 프로젝트(large scale one time projects) : 건설 공사, 조선 작업 등
- 기술과 R&D
- 기술(technology) : 넓은 의미로 기계, 설비, 공정, 제품, 생산 방법, 각종의 노하우를 포함
- 연구개발(R&D) : 신제품/신기술 연구개발, 경쟁력의 원동력
(5) 생산 활동 주요 영역
- 제품설계 및 공정설계
- 수요예측 및 생산계획
- 재고관리(inventory control) : 적시적량의 재고수준 유지
- 품질관리(quality control)
2) 생산관리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 원가절감
- 품질향상
- 시간단축
- 유연성 증대
3) 생산관리는 무엇을 관리하는가?
- 생산 공정의 관리
- 적정 재고량의 유지
- 최고의 품질로 향상 원가절감
2. 생산 공정
1) 생산 주체
(1) 생산 시스템이 하는 일
- 생산 조직
- 투입, 변환과정, 산출
생산조직 (생산시스템) |
투입 | 전환 (변환) |
산출 |
병원 식당 자동차 공장 대학 |
환자 배고픈 고객 원재료와부품 신입생 |
치료 음식과 서비스 조립과 제작 교육 |
건강해진 환자 배부른 고객 완성된 자동차 졸업생 |
- 생산조직의 속성
- 목표지향
- 환경 적응
- 전환과 통제
(2) 생산 조직의 속성
2) 생산의 실천 단계
(1) 1단계 : 생산량의 예측
- 계획생산
- 고객주문생산
- 시장조사
- 제품설계
- 제품수명주기(도입기-성장기-성숙기-쇠퇴기)
(2) 2단계 : 생산방식의 선택
- 주문생산방식
- 조립생산방식 - 묶음생산방식 - 연속생산방식
(3) 3단계: 시설·설비의 배치 사용
- 미래의 수요
- 설비 계획의 대안 수립 및 선정
- 입지 선정
생산조직 | 설비계획을 위한 고려 요인 |
자동차 공장 제철 공장 맥주 공장 원자력 공장 항공사 병원 극장 식당 대학교 |
자동차 생산 대수/일 강철 생산 톤수/주 생산 배렬수/일 전기의 메가와트/일 이용자 좌석수, 비행기 마일수/일 치료 받을 환자의 수/주 입장객수, 상영되는 영화수/주 고객의 주문량/일 등록 학생수, 강좌수/년 |
3. 어떻게 품질을 향상시킬 것인가?
1) 품질이란 무엇인가?
(1) 품질의 확장 개념
- 목표 품질
- 설계 품질
- 제조 품질
- 사용 품질
2) 전사적 품질경영전략
(1) 전사적 품질경영의 개념
- 회사 내의 모든 경영과정에서의 품질관리
- 전원이 참가하는 품질관리
- 통계적 방법을 비롯한 모든 기법을 활용하는 품질관리
구분 | 품질관리 (QC : Quality Control) |
전사적 품질경영 (TQM : Total Quality Management) |
대상 | 현장/제조부문 위주 | 기업 내 전 부문 |
중심업종 | 제조업 중심 | 설계에서 서비스부문까지 확산 |
목표 | 생산 관리면에 국한(불량률 감소, 원가절 감, 품질의 균일화) | 기술혁신, 불량예방, 원가절감 등을 통한 생산성의 총체적 향상, 고객만족 |
성격 | 생산 현장에 정통한 품질관리 담당자에 의한 관리, 통제 위주 | 경영전략차원에서 생산직, 관리자, 최고경 영자까지 전사적으로 참여 |
3) ISO 9000 제도의 도입
- 제품이 생산되는 과정에서의 품질
- 사업영역을 국제적으로 확대하면서 국제적 인정받을 수 있는 기준
- ISO 9000 시리즈 인증을 받았을 경우의 이점
- 이미지 개선
- 업무의 효율성 증대
- 관리 능력 향상
- 품질검사 면제
-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 용이
'경영학 > 경영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개론] 19. 회계와 재무 (0) | 2021.12.07 |
---|---|
[경영학개론] 18. 마케팅 관리 (0) | 2021.12.07 |
[경영학개론] 16.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경영활동 (0) | 2021.12.07 |
[경영학개론] 15. 리더십을 통한 경영활동 (0) | 2021.12.07 |
[경영학개론] 14. 조직의 설계 (0) | 2021.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