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마케팅 컨셉
1)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1) 교환행동 :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주고 고객은 그 대가를 기업에 지불
(2) 고객이 원하는 것을 생산하여 교환
- 시장 선택 : 어떤 사람?
- 4P 선택
- 제품(Product) 결정 : 어떤 노트북을?
- 가격(Price) 결정 : 값을 얼마로?
- 유통경로(Place) 결정 : 어떤 종류의 점포를 통해서?
- 촉진방법(Promotion) 결정 : 어떤 방법으로 알려야 하나?
2) 마케팅관리란 무엇인가?
(1) 마케팅 활동을 계획, 조직, 지휘, 조정, 통제해 나가는 일련의 활동
(2) 마케팅 관리자의 역할 : 시장과 4P에 관한 정보 수집, 전략 수립, 실천하는 역할
3) 마케팅관리 기능(Marketing management function)
(1) Seeking function
- 고객의 욕망 발견 규명
- 시장조사 분석(marketing research)
(2) matching function
- (환경제약요소와 기업의 능력) → 일치시킴 → (고객의 다양한 욕망)
- 다양한 욕망 중 기업 능력과 환경에 따라 충족시킬 수 있는 부분 발견
- 시장세분화(지리적, 사회/경제적, 소비자구매행동)
- 상품생산능력 고려
- 목표시장 설정
- 상품수요측정, 자원비용 측정, 미래결과 예측 기능
(3) Programming function
- 고객욕망을 충족시키는 marketing mix 구성
-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의 적절한 전략 구성 및 추진 계획 수립
(4) Consummating function
- 최종 재화-용역의 교환 기능
- 교환에 필요한 절차 준비
- 운송, 보관
4) 소비자행동과 영향 요인
- 무슨 상품을, 얼마나,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구매할 것인지에 관한 모든 행동
- 소비자행동의 파악 = 마케팅관리의 기초
-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 개성
- 가족
- 문화
- 생활양식
- 나이와 직업
- 사회계층
- 준거집단
2. 마케팅 관리의 대상과 주체
1) 마케팅은 무엇을 관리하는가?
기업이 더 많이 팔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최선의 결정을 해야 하는데 이것이 마케팅 활동의 관리대상이 된다.
(1) 시장선택
시장의 범위, 즉 마케팅의 대상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세상 모든 시장의 모든 사람을 상대로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어느 지역의 어떤 고객이 우리 시계를 살지, 어떤 고객층을 겨냥할지를 결정해야 하며 고객층을 지역별로 분류해야 하는지, 아니면 소득, 성별, 취향에 따라 구분해야 하는지 결정해야 한다.
(2) 4P선택: 마케팅 믹스
제품결정(Product)
가격결정(Price)
유통경로결정(Place)
촉진방법결정(Promotion)
* 마케팅의 중요활동
(1) 알맞은 시장을 선택하는 것
(2) 그 시장을 상대로 4P요소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
2) 소비자행동
소비자행동이란 고객들이 회사가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고 사용하는 활동을 말하는데 소비자의 행동이 중요한 이유는 기업이 그것을 잘 알아야 그들이 원하는 것을 제공하고 그들의 비위를 맞추고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이 구매결정을 어떻게 하는지, 그들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나이와 성별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행동하는지 등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다.
(1) 소비자 의사결정의 영향요인
- 개인적 특성
- 문화적 요인
- 심리적 요인
- 사회적 요인
(2) 시장세분화
시장세분화란 기업이 고객들에게 좀 더 가까이 접근하기 위해서 고객군을 특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3) 마케팅 활동의 주역은 누구인가?
- 회사(Company)
- 소비자(Consumer)
- 유통경로(Channel)
- 경쟁사(Competitors)
3. 제품, 가격, 마케팅경로 관리
1) 제품관리란 무엇인가?
(1) 제품의 유형 분류
분류의 기준 | 제품의 종류 |
제품의 용도 | 소비재, 산업재 |
소비자의 쇼핑 습관 | 편의품, 선매품, 전문품 |
내구성 | 내구재, 비내구재 |
- 제품 유형의 분류 이유 : 제품에 따라 4P의 전략이 달라지기 때문
- 소비재와 산업재 : 구매 목적에 따라
- 편의품, 선매품, 전문품
(2) 제품의 결정
- 무엇을 결정해야 하나?
- 제품 속성
- 브랜드
- 포장 방식
- 지원 서비스
(3) 제품전략
- 상표 및 포장 : 제품의 일부 구성, 다양한 기능 수행
- 상표 : 상표명(brand name)과 상표마크(brand mark) 구성, 기능적 품질과 상징적 품질의 표시
(a) 상표 기능 : 식별 기능, 차별화 전략, 상표 충성, 안도감과 자부심
- 포장기능 : 세 단계 포장, 일차적 포장, 이차적 포장, 적송 포장
(a) 제품 기능 : 제품의 취약점 보완, 담는 기능, 보호기능, 편의 기능
(b) 의사전달 기능 : 제품 식별 기능, 제품 이미지 결정 기능, 정보 제공 기능, 태도 변화 기능
(c) 가격 기능 : 가격 조절 기능
- 제품수명주기(PLC : Product Life Cycle)와 마케팅 활동
(1) 제품수명주기 관리 : 제품의 생애단계, 생애주기의 단계에 따라 마케팅 전략 수립
제품수명주기 단계 | 특징 | 마케팅 전략 |
도입기(introduction state) | 초기단계, 매출부진, 손실발생, 다양성 억제 | 광고 활동, 인지도 확산 |
성장기(growth stage) | 도입기 정책 유지, 다양성 추가 | 생산 확장, 투자 증대 |
성숙기(saturation stage) | 다수경쟁자, 브랜드 간 차 이 불인정, 창의성 필요 | 가격의 하향 조정 필요, 제 품의 다양화 추진, 새로운 용도 개발, 시장 확대 |
쇠퇴기(decline state) | 적절한 철수 시간 선정 | 현상 유지, 비용 통제 |
2) 가격은 관리가 가능한가?
(1) 가격의 결정 요인
- 제품의 특수성, 차별성 : 특수성이 크면 가격결정 유통성 큼, 고가정책 및 저가정책
- 원가중심 가격결정 : 생산비, 기타 경비 요소
- 수요중심 가격결정: 수요의 탄력성 감안
- 유통중심 가격결정 : 유통경로 차이가 마케팅 경비 차이
- 경쟁중심 가격결정 : 가격 경쟁 조성, 입찰
(2) 가격정책의 유형
가격결정 요소 감안함과 동시에 정책적 차원에서 가격 결정
- 신제품의 경우
- 고가격정책 : 고소득층에 고가로
- 시장침투가격정책 : 대중에게 낮은 가격으로
- 심리가격
- 심리적 가격(psychological price) : 합리적이고 이성적으로 판단한다면 해당 가격이 아니지만 소비자 마음으로 동의하는 가격
- 가격(price)과 가치(value)의 차이
(a) 권위가격(prestige pricing) : 가격이 높을수록 품질이 좋다고 여겨지는 제품에 대해서는 가격을 높일 때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이 있는데, 이 가격을 권위 가격이라고 함.
(b) 관습가격(customary pricing) : 소비자들이 관습적으로 당연하다고 여기는 가격이 있을 때 그 가격에 맞춰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 예) 껌, 라면 등).
(c) 선도가격(leader pricing) : 과점 상태에서의 가격형성 방법으로, 그 시장을 선점(leader)한 기업이 어떤 상품의 가격을 먼저 결정함으로써 다른 기업들도 이에 따라 동일하게 결정짓 게 되는 현상.
(d) 단수가격(odd pricing) : 가격을 단위를 낮추어 (₩1,000 → ₩990) 판매 가격을 설정하여 소비자들이 심리적으로 싸게 느끼도록 하는 것. - 시장 및 할인에 따른 가격 정책
- 시장별 가격 정책 : 단일가격 vs 차별가격
- 할인제도 : 수량 할인 vs 현금거래 할인
- 특수가격
- 카르텔 가격 : 의도적으로 경쟁자 또는 거래 대리점과 협정을 맺고 가격을 강제로 담합하여 판매하는 가격
- 판매 유지 가격 : 널리 알려진 상표의 제품을 제조업자가 도매상 또는 소매상에게 공급해주면서 소비자에게 팔 때 가격을 설정해주는 가격 정책.
3) 어떤 경로를 통해 전달할까?
(1) 유통기관은 필요한 것인가?
- 유통기관 존재의 가치
- 정보 전달
- 제품의 분류
- 거래방식의 고정
- 거래의 집중화
- 시간과 장소의 이전
(2) 유통의 효용
- 생산된 상품을 최종소비자 기타 고객에 배달
- 창고, 운송, 적재/하역 등 기능 수행
- 유통경로: 중간상인의 체계
- 유통경로 통해 상품, 소유권, 정보, 대금 등 흐름
- 유통기능의 효용
- 시간효용(time utility)
- 장소적 효용(place utility)
- 소유효용(possession utility)
(3) 유통기관과 유통경로
- 유통기관
- 도매상 : 대리점, 오퍼상 등
- 소매상 : 백화점, 슈퍼마켓, 편의점, 방문판매자, 자동판매기, 전자상거래 조직
- 유통경로
유통경로의 구조 : 유통경로의 길이, 폭, 다양성/통제력/신축성 세 가지 차원에서 검토
-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 유통경로의 폭(width) : 한 단계의 중간상인 수
(a) 전속적 유통(exclusive distribution) : 판매지역별로 하나 또는 극소수의 중간상인에게 자사의 제품을 유통할 권리를 부여하는 유통
(b) 선별적 유통(selective distribution) : 특정 소매점을 선택하여 자사의 제품을 취급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유통
(c) 개방적 유통(intensive distribution) : 제조회사가 자사제품을 취급하는 상점의 수를 최대한으로 많게 하는 유통, 시장노출을 극대화하는 전략
- 유통경로의 다양성(multiplicity), 통력, 신축성을 고려함
(4) 유통경로의 설계: 비용
- 유통경로 결정 요소
- 시장규모, 지리적 분산
- 제품가치, 구매 빈도
- 고객의 유통경로 선호
- 제품의 특성
- 중간상의 적합성
- 물적 유통의 결정 요소
- 제품종류와 형태
- 고객의 지리적 집중 vs 분산
- 주문양의 크기
- 주문의 빈도
- 수송수단의 종류와 질
- 비용과 경쟁
(5) 유통정책
- 어떤 유통경로를 택할 것인가?
- 얼마나 많은 중간상을 이용할 것인가?
- 집약적 경로 : 가능한 많은 소매상들로 하여금 자사제품을 취급하도록 함
- 전속적 경로 : 한 지역에 하나의 점포에게 판매권을 부여
- 선별적 경로 : 한 지역에 제한된 수의 점포들에게 판매권을 부여
집약적 경로 | 전속적 경로 | 선별적 경로 | |
전략 | 가능한 한 많은 점포들로 하여금 자사제품을 취급하도록 함 | 한 지역에 하나의 점포에게 판매권을 부여함 | 한 지역에 제한된 수의 점포들에게 판매권을 부여함 |
점포수 | 가능한 많은 수의 점포 | 하나 | 소수 |
제조업자의 통제 정도 | 낮음 | 매우 높음 | 제한된 범위에서 통제 가능 |
제품유형 | 편의품 (치약, 세제 등) | 전문품 (향수, 패션의류 등) | 선매품 (전자제품) |
4. 촉진
1) 촉진 개념
: 기업 또는 상품의 우수성과 고객만족 능력을 알리고 이해시켜 고객의 선택을 받도록 하는 의사전달 기능(promotion) = 마케팅 의사전달
2) 촉진 수단
(1) 주된 수단 : 광고, 인적판매
(2) 보조적 수단 : 기업광고, PR, 판매촉진
(3) 기타 수단 : 퍼브리스티, 신문, 방송, 기타 정기간행물의 보도 또는 논설의 일환으로 특정 기업과 상품 거론 촉진효과, 구전
(4) 촉진 수단의 통합적 사용 : 모든 촉진 수단을 통합해서 시너지효과 발생
3) 광고와 홍보
- 광고관리 : 광고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예산을 편성하고 메시지를 제작하는데 어떤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를 정함
- 메시지 내용과 전달
- 홍보
4) 인적판매와 판매촉진 수단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 · 가격할인 · 할인쿠폰 · 사은품, 증정품 · 경품 · 견본품 · 끼워 넣기 |
생산자가 유통업자에게 | · 수량할인 · 경품 · 신제품 견본 · 점포시설 제공 · 광고지, 간판 제공 · 공장 견학, 쇼, 이벤트 |
'경영학 > 경영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개론] 20. 재무관리 (0) | 2021.12.07 |
---|---|
[경영학개론] 19. 회계와 재무 (0) | 2021.12.07 |
[경영학개론] 17. 제품 생산의 관리 (0) | 2021.12.07 |
[경영학개론] 16.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경영활동 (0) | 2021.12.07 |
[경영학개론] 15. 리더십을 통한 경영활동 (0) | 2021.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