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다국적 기업의 의의와 현황
1) 다국적 기업이란 무엇인가?
- 해외 자회사를 1개 이상 보유한 기업
- 다국적 기업에 대한 기준은 학자마다 국제화 구조, 성과, 행태를 기준으로 다국적기업 여부를 판단
- 다국적화가 크게 진전되면 국적과 관계없는 무국적 기업, 초국적기업이 되므로 국적에 관계없이 의사결정을 진행
2) 다국적 기업의 현황
- 100대 초국적기업은 매우 거대, 이들의 매출액과 종업원 수는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
- 포춘 100대 기업과 국내 기업과의 수익성 차이와 기업들의 자본 조달 방식의 차이는 현격해지고 있음.
- 100대 기업의 매출 증가가 바로 시장가치의 증가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 시장가치는 지속적인 높은 수익 창출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2. 다국적 기업의 조직
1) 수출 부서 조직구조
- 수출부
- 해외영업부서
2) 국제사업부 조직구조
- 국제사업부 또는 해외영업본부 조직
- 제품별 사업부와 국제사업부
- 내수 위주의 조직구조
3) 글로벌사업부 조직 구조
- 제품별 글로벌사업부
- 제품 사업부가 해외영업을 총괄
- 글로벌 표준화 이점
- 지역별 글로벌사업부
- 지역 사업부 가생산, 판매, R&D 등을 관장
- 현지화 이점
- 글로벌 매트릭스
- 제품과 지역부문이 연결되어 관리
3. 다국적 기업의 경영방식
1) 펄뮤터 모델
- 본국 지향
- 본사 방식대로 해외자회사 운영
- 현지 지향
- 현지 경영자에게 경영을 일임.
- 지역 지향
- 지역 단위로 경영을 현지화
- 세계지향
- 글로벌한 국제 분업 및 협력 체제 구축
2) 바트렛과 고샬의 모델
- 범세계적 효율 추구형
- 중앙집권적인 운영과 규모의 경제 추구
- 현지 적응형
- 지역 특성에 맞는 자기완결형 조직 구축
- 지식이전형
- 모회사 노하우를 해외 거점으로 이전 활용
- 글로벌 네트워크형
- 세계적인 효율성, 현지 적응력, 혁신능력 등을 동시 추구
반응형
'경영학 > 국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경영] 6. 국제 통상환경과 관리 (2) (0) | 2021.08.24 |
---|---|
[국제경영] 5. 국제 통상환경과 관리 (1) (0) | 2021.08.24 |
[국제경영] 3. 기업의 국제화에 대한 이해 (0) | 2021.08.23 |
[국제경영] 2. 국제경영학에 대한 이해 (0) | 2021.08.10 |
[국제경영] 1. 국제경영에 대한 이해 (0) | 2021.08.10 |
댓글